시스코(CISCO) 스위치 WS-C2960S-48TS-S & WS-C2960S-48TS-L 모델의 명령어 차이

2019-04-25 KENNETH 0

운영중인 장비중 일부는 사양이 거의 같지만 모델이 약간 다름 무심코 기존에 사용했던 명령어로 설정을 하고 있었는데 동일한 SW버전( Version 12.2(55r)SE ) 라도 장비에 따라 다름 일부 명령어 운용에 차이가 있었던 것임 (전체 확인은 되지 않음) 발견된 내용 명령어 : interface 1. 기가비트이더넷의 1~44 번포트를 범주로 지정시 WS-C2960S-48TS-S : interface range GigabitEthernet 0/1-44 WS-C2960S-48TS-L : interface range GigabitEthernet 1/0/1-44 2. 기가비트이더넷의 단일 포트를 지정시 WS-C2960S-48TS-S : interface GigabitEthernet0/43 WS-C2960S-48TS-L : interface GigabitEthernet 1/0/43

No Image

Cisco WebEx Meetings Player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6-10-27 KENNETH 0

URL : http://www.boho.or.kr/data/secNoticeView.do?bulletin_writing_sequence=24665   □ 개요 o Cisco社는 자사의 제품에 영향을 주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[1]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해 원격코드실행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,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□ 설명 o Cisco WebEx Meetings Player에서 특수하게 제작된 악성 WRF 파일을 실행시킬 때 발생하는 원격 코드 취약점(CVE-2016-1464)[2] □ 해당 시스템 o 영향을 받는 제품 – Cisco WebEx Meetings Player T31R2 – Cisco WebEx Meetings Player T31 – Cisco WebEx Meetings Player T30 – Cisco WebEx Meetings Player T29.10 – Cisco WebEx Meetings Player T29 □ 해결 방안 o 취약점이 발생한 Cisco WebEx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이용자는, 해당되는 참고사이트에 명시되어 있는 ‘Affected Products’ 내용을 확인하여, 패치 적용 □ 기타 문의사항 o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: 국번없이 118 [참고사이트] [1] https://tools.cisco.com/security/center/content/CiscoSecurityAdvisory/cisco-sa-20160831-meetings-player [2] https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16-1464 [3] http://www.securityfocus.com/bid/92708/info

No Image

Cisco 제품군 다중 취약점 보안 주의 권고

2016-10-20 KENNETH 0

출처 : http://www.boho.or.kr/data/secNoticeView.do?bulletin_writing_sequence=24647   □ 개요 o Cisco 社는 자사의 제품에 영향을 주는 취약점을 발표 [1]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인증 우회, 서비스 거부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해결방안에 따른 조치 권고 ※ 해당 보안 업데이트 발표 시 재공지 □ 설명 o CVE-2016-6445 : Meeting Server의 XMPP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클라이언트 인증 우회 취약점 [2] o CVE-2016-6437 : Wide Area Application Service(WAAS)의 SSL 세션 캐시 관리에서 발생하는 서비스 거부 취약점 [3] o CVE-2016-6440 :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(CUCM)의 웹 페이지에서 발생하는 iframe 데이터 클릭재킹 취약점 [4] o CVE-2016-6443 : Prime Infrastructure와 Evolved Programmable Network Manager에서 발생하는 SQL Injection 취약점 [5] o CVE-2016-6442 : Finesse 소프트웨어에서 발생하는 사이트간 요청 위조(CSRF) 취약점 [6] o CVE-2016-6438 : Cisco IOS XE 소프트웨어에서 동작하는 Cisco-cBR-8 Converged Broadband Router에서 vty line의 환경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취약점 [7] □ 해당 시스템 o 영향을 받는 제품 – 참고 [ more… ]

No Image

Cisco 제품군 다중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6-10-09 KENNETH 0

출처 : http://www.boho.or.kr/data/secNoticeView.do?bulletin_writing_sequence=24626   □ 개요 o Cisco社는 자사의 제품에 영향을 주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해 원격코드실행, 서비스 거부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,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□ 설명 o  Cisco IOS, IOS XE 소프트웨어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6-6289) [1] o  Cisco ESA 원격 제어 취약점(CVE-2016-6406) [2] o  Cisco ASA DHCP 릴레이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6-6424) [3] o  Cisco NX-OS BGP 프롵토콜 거부 취약점(CVE-2016-1454) [4] o  Cisco 7600 라우터, 6500 스위치 ACL 우회 취약점(CVE-2016-6422)[5] o  Cisco NX-OS 조작된 DHCPv4 패킷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6-6392) [6] o  Cisco NX-OS 조작된 DHCPv4 패킷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6-6393) [7] o  Cisco Firepower Threat Management 원격 명령 실행 취약점(CVE-2016-6433) [8] o  Cisco Firepower Management Center 웹 콘솔 LFI 취약점(CVE-2016-6435) [9] ※ LFI: Local File Include o  Cisco IOS, IOS XE IKEv2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6-6423) [10] o  Cisco IOS XR 소프트웨어 CLI 취약점(CVE-2016-6428) [11] [ more… ]

No Image

Cisco 제품군 다중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

2016-09-23 KENNETH 0

출처 : http://www.boho.or.kr/data/secNoticeView.do?bulletin_writing_sequence=24587   □ 개요 o Cisco社는 자사의 제품에 영향을 주는 취약점을 해결한 보안 업데이트를 발표 o 공격자는 해당 취약점을 악용해 원격코드실행, 서비스 거부 등의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,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권고 □ 설명 o  Cisco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2100 커맨드 인젝션 취약점(CVE-2016-6373) [1] o  Cisco 클라우드 서비스 플랫폼 2100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(CVE-2016-6374) [2] o  Cisco IOS, IOS XE IOX 커맨드 인젝션 취약점(CVE-2016-6414) [3] o  Cisco Firepower Management Center 및 FireSIGHT 시스템 소프트웨어 SSL 우회 취약점(CVE-2016-6411) [4] o  Cisco IOS, IOS XE 소프트웨어 서비스 거부 취약점(CVE-2016-6409) [5] o  Cisco Prime Home 정보 노출 취약점(CVE-2016-6408) [6] o  CAF 헤더 주입 취약점(CVE-2016-6412) [7] ※ CAF: Cisco Application-hosting Framework o  Cisco APIC 권한 상승 취약점(CVE-2016-6413) [8] ※ APIC: Application Policy Infrastructure Controller o  다중 Cisco 제품군 중간자 공격 취약점(CVE-2015-6358) [9] □ 해당 시스템 o 영향을 받는 제품 – 참고사이트에 명시되어 있는 ‘Affected [ more…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