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inux parted 사용법

2019-12-20 KENNETH 0

다들 사용하는 명령을 이제 와서 알아보자는건 아니고… 무심코 사용하다 지나칠 수 있는 내용에 대해 한번 알아봅시다. parted /dev/sdb 명령을 이용해서 parted 콘솔로 진입해 보자…   현황 확인 (parted) print Model: ATA ST3500630NS (scsi) Disk /dev/sdb: 500GB Sector size (logical/physical): 512B/512B Partition Table: msdos Disk Flags: Number Start End Size Type File system Flags 1 1049kB 500GB 500GB primary ext3   기존 파티션 삭제 (parted) rm 1 (parted) print Model: ATA ST3500630NS (scsi) Disk /dev/sdb: 500GB Sector size (logical/physical): 512B/512B Partition Table: msdos Disk Flags: Number Start End Size Type File system Flags ********  이부분이 비었다 *******   일단 GPT 레이블 생성 (2TB 미만 용량이면 굳이 필요하지는 않은데….) (parted) mklabel gpt Warning: The existing disk label on /dev/sdb will be destroyed and all data on this disk will be lost. Do you want to continue? Yes/No? y   파티션 생성 : [ more… ]

How to install the NVIDIA drivers on CentOS8(RHEL8)

2019-11-18 KENNETH 0

How to install the NVIDIA drivers on CentOS8(RHEL8)   환경 OS : CentOS 8 64bit(x86_64) VGA : NVIDIA Geforce GTS-250   참고URL (구글 2TOP) 1. https://linuxconfig.org/how-to-install-the-nvidia-drivers-on-centos-8 2. https://access.redhat.com/solutions/4134381   주의사항 1번 처리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이유는 2번에 보다 자세히 나와 있는데 정식드라이버(NVIDIA 에서 다운받은 드라이버)는 centos8 에 적용된 wayland에서 작동하지 않기 때문이다. (실제로 드라이버를 설치하면 /etc/X11/xorg.conf 를 재작성한다. – centos8 기본상태에서는 해당 파일의 크기가 ‘0’이다)     설치 준비   1. NVIDIA 드라이버 다운 https://www.nvidia.co.kr/Download/index.aspx?lang=kr * 제품유형 : GeForce * 제품시리즈 : GeForce 200 Series * 제품계열 : GeForce GTS 250 * 운영체제 : Linux 64-bit * 다운로드타입 : Game Ready Driver (GRD) * 언어 : English (US) 작성자 본인의 경우 파일명 : NVIDIA-Linux-x86_64-340.107.run 상당히 오래전 파일이고, 더이상 업데이트가 되지는 않는 것으로 예상됨. (그래픽 카드도 워낙 오래된 물건이라서)   2. CentOS 추가 패키지 설치 dnf groupinstall “Server with GUI” “base-x” “Legacy [ more… ]

centos8 building 20190620

2019-06-20 KENNETH 0

출처https://wiki.centos.org/About/Building_8 궁금해서 퍼옴, 자세한 내용은 출처에… Current Timeline Item Started Ended Status Sources pushed to CentOS Git 2019-05-07 2019-05-08 DONE Source code evaluation 2019-05-07 YYYY-MM-DD Ongoing New Build System Setup 2019-05-07 2019-05-08 DONE Debranding patches added 2019-05-07 YYYY-MM-DD Ongoing Artwork Requested 2019-03-07 2019-05-07 DONE Artwork Selections 2019-05-09 YYYY-MM-DD Ongoing Build Loop 0 2019-05-07 2019 mid June DONE Build Loop 1 2019 mid June YYYY-MM-DD Ongoing Build Loop N YYYY-MM-DD YYYY-MM-DD Not started Installer work 2019-06-16 YYYY-MM-DD Ongoing QA work YYYY-MM-DD YYYY-MM-DD Not started RC work YYYY-MM-DD YYYY-MM-DD Not started Release work YYYY-MM-DD YYYY-MM-DD Not started Definitions DONE – Step is completed Ongoing – Work is progressing Not started – This step may requires work from another step to reach some completion or requires time from person who is working on other parts. Build loop 0 – Getting an initial set of packages together [ more… ]

16TB limit of ext4 file systems on centos6(rhel6) linux

2019-03-19 KENNETH 0

centos6 환경에서 16TB 이상의 파일시스템 생성하기 환경OS : CentOS-6.10 (6버전 / 64bit)Disk : /dev/sdbSize : 17990.5 GB (17990533775360 bytes) 실행시 에러 메세지mkfs.ext4 /dev/sdb1mke2fs 1.41.12 (17-May-2010)mkfs.ext4: Size of device /dev/sdb1 too big to be expressed in 32 bits using a blocksize of 4096. 근거 https://access.redhat.com/articles/rhel-limitsrhel 공식 발표 내용이다.. 즉, rhel6(cent6)에서는 16TB 가 한계… 환경 개선을 통해 지원하도록 처리해 보자. /etc/mke2fs.conf : centos6 원래 상태 /etc/mke2fs.conf : 변경된 상태 “auto_64-bit_support = 1” 추가 신버전의 e2fsprogs 설치 2019.03.19 기준으로 1.44.5 버전이 최신이었음 wget http://prdownloads.sourceforge.net/e2fsprogs/e2fsprogs-1.44.5.tar.gztar zxvpf e2fsprogs-1.44.5.tar.gzcd e2fsprogs-1.44.5./configure makemake install 설치된 e2fsprogs 활용 /usr/local/sbin/mkfs.ext4 /dev/sdb1에러가 없이 잘 된다… 그래서 마운트를 시도해 보면… 이렇게 오류가 발생한다. # mount /dev/sdb1 /home2 mount: wrong fs type, bad option, bad superblock on /dev/sdb1, missing codepage or helper program, or other error In some cases useful info is found in syslog – try dmesg | tail or so 이유 [ more… ]

(28)No space left on device: AH00023: Couldn’t create the rewrite-map mutex in Apache

2018-09-01 KENNETH 0

  증상 아래 로그와 같이 아파치 실행이 되지 않는 문제 발생 이 에러 참으로 오랜만이다… 아마 마지막으로 본것이 10년은 족히 된것 같구나… 너무 오랜만이어서 대략적으로다가 순간 흠칫… ㄷ ㄷ ㄷ   에러 로그 [core:emerg] [pid 6744:tid 139704271460160] (28)No space left on device: AH00023: Couldn’t create the rewrite-map mutex AH00016: Configuration Failed   당장 처리 아파치 구동 유저가 “nobody”라는 가정 하에… ipcs -s |grep nobody|awk ‘{print $2}’ |xargs ipcrm -s 이후 아파치를 실행해 보면 정상 구동 될 것이다.   원인 리눅스의 세마포어(semaphore)와 관련이 있다.. 제한된 자원 할당량에 의해 더이상 자원을 사용하지 못한다고 생각 하면 될듯…   사용 현황 확인 # ipcs -s —— Semaphore Arrays ——– key semid owner perms nsems 0x00000000 236847104 root 666 1 0x00000000 236879873 root 666 1 0x00000000 236912642 nobody 600 1 0x00000000 236945411 nobody 600 1 0x00000000 87293956 nobody 600 1 0x00000000 87326725 nobody 600 1 [ more… ]